49제는 한국의 전통적인 장례의식 중 하나로 고인이 사망한 후 49일 동안 매일 기도를 드리며 고인의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의식입니다. 오늘은 49제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차림, 복장, 49제 동안 하면 안되는 금기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9제의 의미
불교에서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49일 동안 저승에 머무른다고 합니다. 이 때 명부시왕 중 일곱대왕들에게 7일마다 심판을 받고, 49일째 최종심판을 받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심판 받는 날에 맞춰서 49일동안 7번 재를 지낸다고 하여 '49재'라고 합니다. 특히 심판을 받아 죽은 사람의 영혼이 다시 환생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불교를 믿고 계신 분들이라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식이기도 합니다.
49제 계산기 계산하는 방법
사십구재는 고인의 사망일을 첫번쨰 날로 삼아서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화요일에 사망하셨다면 49재는 7주뒤 월요일에 치르게 됩니다.
원래 49재는 위패를 모신 후 초재에서 7재까지 7번에 걸쳐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가족들의 상황에 따라 1,3,5,7재나 초하루 보름재로 줄이거나 마지막 49일에 해당하는 7재만 지내기도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간단하게 49일째만 제사를 지내는 것이 흔합니다. 또한 해당요일에 가족들이 모이기 어려운 경우 날짜를 바꾸어 지내기도 합니다. 날짜를 지키는 것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는 데 그 의의를 두기 때문입니다.
49제 상차림 음식 지내는 법
49재는 임종 후 탈상할 때까지 7일째 되는 날의 매주 아침마다 음식을 올리고 염불을 외며 기도를 드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가정에서 49재를 지내신다면 집안 중 가장 조용하고 밝은 곳을 정해 상을 준비하고, 고인의 영정과 위패를 올립니다. 이후 고인이 좋아하셨던 음식과 술을 올려 제사를 지냅니다.
49재 상차림은 일반 제사상과는 다르게 생선과 육류를 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귀신을 쫓아낸다는 팥, 소금, 고춧가루, 마늘은 요리를 할 때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통 밥과 국, 삼색나물과 삼색과일이 올라가며, 간략하게 올린다면 국, 밥 2가지만 올려도 괜찮습니다.
49재 옷차림 복장
단정하며 튀지않는 색상의 옷이 좋습니다. 반드시 검정일 필요는 없으며, 과하지 않은 어두운 게통의 옷이면 됩니다. 남자들은 주로 양복을 입으며, 장례식때 착용하는 완정은 착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여자들은 어두운 계통의 정장느낌의 바지와 블라우스를 입습니다.
49제 금기사항
49재 동안 몸과 마음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째로 음주가무를 멀리하여야 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비는 기간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부르며 춤을 추는 행위는 자제하는 것이 옳습니다. 두번쨰로는 살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생명도 소중히 여기며 모든 생명을 존중하여야 합니다. 세번째로는 거짓말로 업보를 쌓지 않는 것입니다. 말 한마디 한마디가 고인의 명복을 빌기위한 중요한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49재 동안 다른 경조사에 참여하는 것은 어떨까요?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불가피한 상황에 놓일 수 밖에 없는데 이 점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장례식장이라던지 결혼식장에 방문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생활 속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로지옥4 프듀48 아이돌학교 이시안은 누구? (0) | 2025.01.15 |
---|---|
RS바이러스 성인도 걸릴까? 잠복기랑 증상은? (0) | 2025.01.13 |
타이레놀 현탁액 500 효능 복용법 (0) | 2024.09.05 |
복달임 복놀이 뜻 음식 밥상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7.22 |
스타벅스 올레아토 칼로리 카페인 설사 (1) | 2024.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