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폭스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한느 급성 발진성 감염병입니다. 최근 국내에서 엠폭스 감염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엠폭스는 잠복기가 3주 정도이며, 어떤 경로로 발병했는지 밝히기가 어렵습니다. 초기증상은 독감과 매우 유사하여 다른 질병과 오인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엠폭스 증상
엠폭스는 1958년 실험실에서 사육 중이던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1970년 콩고민구공화국에서 인체감염 첫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2022년 유행 전까지는 중앙아프리카 및 서부아프리카의 농촌 열대 우림지역에서 발생하는 풍토병의 일종이었습니다. 2022년 5월 이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다수 국가에서 풍토병과 상관없이 유행하여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2년 6월 독일에서 입국한 30대가 처음으로 발생하였으며 현재까지 누적 9명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7,8,9번 환자는 해외방문력이 없이 국내에서 발병했습니다.
엠폭스는 원숭이 두창이라고도 하며, 원숭이를 통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질병입니다. 엠폭스의 초기증상은 발열, 근육통, 두통, 오한, 요통, 탈진, 림프절 부종입니다. 1~5일이 지나면 얼굴에서부터 발진이 생기고 다른 신체부위로 점차 퍼져나갑니다. 특히 머리로부터 시작해 전신 팔다리 쪽으로 퍼져나가며, 손, 발바닥, 항문이나 생식기 근처에서 발진이 많이 생긴다는 점이 특별한 점입니다. 만약 발진이 보이고, 엠폭스로 의심된다면 바로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 연락하여 진단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엠폭스 원인 전염력
엠폭스는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동물과 접촉을 하거나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 체액,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통해 인간에게 옮습니다. 공기중으로는 전파되지 않으며 바이러스가 사람의 피부나 숨을 쉴 때, 점막을 통해서 몸 안으로 들어옵니다.
엠폭스는 밀접한 접촉을 통해 전염됩니다. WHO에 따르면 처음에는 발열, 발진, 두통, 근육통, 무기력감과 같은 독감과 비슷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후 1~3일이 지나면 전염력이 생기기 시작하고, 피부에 붉은 반점들이 관찰됩니다.
엠폭스 치명률 치료 예방
엠폭스는 감염률과 치명률이 높은 편은 아닙니다. 사망률은 10%정도이며, 변이율도 높지 않아 코로나처럼 팬데믹으로는 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엠폭스는 발진이 있는 상태에서 전염력이 높기 때문에 무증상으로 전염될 가능성도 낮은 편입니다.
가장 중요한 예방방법은 손씻기 입니다. 그리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는 행위는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엠폭스 의심환자나 죽은 동물, 아프리카 수입동물과 접촉을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엠폭스에 대해 승인되거나 허가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증상을 관찰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점입니다. 대부분은 2~4주 내에 자연적으로 치유되며, 정도가 심각하다면 격리하여 입원한 뒤 증상에 대한 대증치료를 실시합니다. 중증도와 사망위험도에 따라 항바이러스제가 투입되기도 합니다.
엠폭스 관련주
엠폭스 관련주로는 미코바이오메드, 바디텍메드, 씨젠, 랩지노믹스, 녹십자엠에스, 진매트릭스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관련주는 미코바이오메드이며, 국내에서 최초로 엠폭스 체외 진단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진매트릭스는 맞춤 의학 선두기업으로 유전체 연구를 통해 질병 예방, 진단, 치료법을 제공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입니다. 엠폭스 환자가 늘어나면서 관련주들도 덩달아 상승하고 있습니다.
'생활 속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법 간호사법 제정 내용 쟁점은 무엇일까 (0) | 2023.05.05 |
---|---|
가다실 9가 가격 남자도 맞아야 할까? (0) | 2023.05.01 |
임플라논 뜻 부작용 제거 피임확률은? (0) | 2023.03.30 |
진해사람이 알려주는 2023 진해 군항제 숨겨진 꿀정보 모음 (0) | 2023.03.20 |
토레스 전기차 쌍용 EVX 출시일 디자인 보조금 살펴보기 (0) | 2023.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