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정보 모음

굴 노로바이러스의 원인, 증상, 예방방법

by GooDsource 2021. 12. 7.
반응형

굴은  9월에서 12월까지의 제철음식으로 중간 크기의 굴 6개의 열량은 50kcal입니다. '바다의 우유'라는 별명답게 영양이 가득한 식재료 중 하나입니다. 19세기 초 미국에서 굴은 노동계급이 주로 즐기는 값싼 음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주요 서식지가 파괴되고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그 생산량이 급감하였습니다. 그래도 전 세계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 해산물임에는 분명합니다. 이러한 굴은 보통 생으로 먹게 됩니다. 그럼 생으로 먹어도 문제가 없는 걸까요?

 

 

 

 

굴 노로바이러스의 원인과 증상

 

노로바이러스란 인간의 소장과 대장에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주로 굴, 생선, 젓갈과 같은 익히지 않은 음식에 많이 존재합니다. 영하 20도와 영상 60도의 극한의 상황에서도 감염성이 유지될 정도로 생명력이 강합니다. 또한 전염성이 매우 높고 주로 11월~4월에 식중독이나 급성 장염을 유발합니다. 

 

노로바이러스의 원인은 첫번째로 바이러스가 있는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했을 경우입니다. 두 번째로는 감염자의 대변이나 구토물 등에 의해 오염된 식품을 섭취했을 때입니다. 마지막으로는 바이러스가 섞여 있거나 붙어 있는 물건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입니다. 실제로 몇 년 전 통영산 굴을 먹고 노로바이러스가 많이 걸린 적이 있었습니다. 이때 노로바이러스의 원인이 양식장 직원, 선원, 낚시꾼들이 바다에 버린 인분이라고 지목되기도 했습니다. 한 사람의 대변으로 축구장 7배의 바다를 오염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비위생적인 환경을 개선하고, 굴 양식장에 대한 위생관리와 검사들이 훨씬 더 까다롭게 되어 이러한 일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반응형

 

 

노로바이러스는 1~2일의 잠복기를 거치고 구토, 복통, 설사,근육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대게는 2~3일 이내로 빠르게 회복됩니다. 특히 소아에게는 구토 증상이, 성인의 경우에는 설사 증상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물처럼 묽은 설사를 반복하고 두통과 고열을 동반한 근육통이 있어 감기몸살과 비슷한 증상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여름보다 겨울철에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높은 이유는 사람들이 겨울철에는 상대적으로 해산물이 싱싱할 것이라 생각하고 익히지 않고 섭취한다는 데 있습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앞서 얘기했듯이 영하 20도의 온도에도 살아남기 때문에 음식물 관리, 위생관리에 소홀한 순간에 전파되게 됩니다. 

 

 

굴 노로바이러스 예방방법

  • 불순물 제거: 깨끗한 소금물로 갈아주면서 2~3번 이상 헹궈주는 것이 좋습니다. 
  • 죽은 굴 골라내기: 신선한 굴은 냉장보관시 일주일 정도 살아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하지만 입을 벌린 채 계속 있다면 죽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러한 굴은 되도록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가열하여 먹기: 노로바이러스는 60도 이상의 열에서 30분가량 있어도 생존 가능합니다. 85도 이상의 온도에서 1분 이상 가열한 후 조리를 하여 드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